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커피의 효능의 모든 것, 커피 마시는 방법, 커피메뉴 종류와 설명, 커피 부작용, 커피 파킨슨병 예방효과, 커피 다이어트 효과





안녕하세요 요즘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녹여주는 커피, 이제는 기호식품이 아니라 필수식품이 될 정도로 매우 보편적이고 일상적인 음료가 되었는데요

 

많은 분들이 더운날 시원한 아리스아메리카노로 추운날 따뜻한 커피로 행복감을 느끼시고 계십니다.

 

다양한 맛을 지니고 그 효능까지 입증된 커피 한국에서의 커피 소비량도 대단한데요

 

성인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은

2008년 289잔

2010년 209잔,

2012년 288잔

2016년 341잔으로

거의 하루에 한잔씩은 마시고 있는데요

 

한국인의 밥과 김치보다 더 자주 먹는다는 통계가 있죠?

 

요즘은 원래 커피를 잘 안드시는 분들도 한잔씩 드시고 계십니다.


65-75세 노인 75%, 75세 이상 노인 절반이 하루 1잔 이상의 커피 섭취를 하고 있다니 커피는 그야 말로 국민 음료가 되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커피의 효능에 대해 관심이 많으신데요.

 

옛날에는 커피에 대한 논란이 참 많았습니다.

커피가 몸에 매우 좋다고 주장하는 학자들과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는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팽팽히 대립했죠.

 

과거에는 카페인의 중독성때문에 부정적 시각이 강했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연구결과에서는 커피 안에 1000여가지 성분이 들어 있는데 미국의 암 연구소에서 40만명의 약 13년간 커피를 꾸준히 3,4잔 마신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장수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큰 이슈가 됬습니다.(사망률 약 10% 낮춰줌)

 

자 그러면 지금부터 커피에 어떤 효능이 있는지어떤 부작용이 있는지 정확히 짚어보고 자신에게 알맞게 섭취하는 것이 참 지혜롭겠죠?

 

그렇다면

 

커피를 제대로 즐기는 방법

 한번 알아보시지요~

 

 

(1)커피는 천연 항암제이

 

커피에는 폴리페놀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효과와 항암효과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커피 속 폴리페놀이 암 촉진 단백질의

결합을 방해함으로 암세포 성장을 억제합니다.

 

폴리페놀의 항산화 효과는 비타민C보다 더 강력한데요

 

폴리페놀 함량 비교


- 커피 1350mg/100g,

- 포도주 450mg/100g,

- 녹차300mg/100g,

- 홍차150mg/100g

 

 

많은 분들이 또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커피가 예전에는

발암물질로 지정되어 있었는데 그게 사실입니까?

 

 

네 그렇습니다.


 

국제 암 연구소에서는 커피가 발암물질에 등록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커피가 발암물질에 등록되어 있다는 점이 아이러니하게도

술, 붉은색 고기로 만든 햄 등도 발암물질에 등록되어 있죠

 

커피의 전 성분을 마시는 것이 아니라

물에 녹는 성분만을 섭취하는 것 뿐이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네요

 

어떤 분들은 볶은 커피콩 색이 검은데 이거 탄 것 아니냐?

탄 식품은 모두 발암물질이 나오는 것이 아니냐고 하시는데요

 

이 검게 변하는 현상은 커피속의 멜라노이딘 성분 때문입니다.

이 성분은 항암과 항산화 작용을 한다고 하니

발암 걱정 하시지 마시고 드시면 되겠네요


 

 

(2)커피, 심장에 어떤 영향을?

 

카페인 성분이 단기간 혈압을 올릴 수 있고

폴리페놀이나 마그네슘은 혈관을 이완시키는 효능이 있기 때문에

혈압이나 심혈관 실환 발생을 낮출 수 있습니다.

 

1-2잔의 적당한 커피를 꾸준히 마신 경우

심혈관 질환 발생률이 15% 정도 감소되었다는

연구결과들이 있습니다.

 

또한 장기 복용했을 때

부정맥의 발생을 예방했다는 결과도 있는데요

 

커피 유전자가 있는 사람은 카페인 분해가 매우 빠릅니다.

커피 유전자가 없는 사람은 카페인 분해다 느립니다.

 

마치 알코올 해독 능력과 같죠

 

커피도 해독 능력이 필요하다니ㅜㅜ

뭐든지 타고나야 하나 봅니다..

 

 

(3)커피 음용 시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드립커피가 좋습니다.

설탕, 프림, 연유는 빼주세요~

 

커피를 마실 때 설탕이나 당분, 연유가 들어있으면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칩니다.

 

에스프레소나 아메리카노, 드립커피처럼 본연의 맛을 즐기는 것이

건강에는 가장 좋습니다.

 

물론 믹스커피는 가능하면 줄이는 것이 좋겠죠?

 

ㅜㅜ 믹스커피가 참 맛있긴 한데.. 말이죠..

 

커피에는 오일 성분이 있기 때문에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가 있는 사람은

커피의 거품을 걸러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커피도 유통기한이 있는데 오래된 커피에서 추출된 기름은

산패되어서 몸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그러므로 커피를 

너무 오래 보관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자 그러면 어렵고 복잡한 커피의 종류를 알려드릴게요





커피의 종류(1)

 

에스프레소

커피가루를 증기와 압력을 가해 커피를 빠르게 추출합니다.

30ml 정도의 작은 양으로 맛이 진함

 

아메리카노

에스프레소에 물을 넣어 옅게 만든 커피입니다.

 

드립커피

분쇄된 커피를 거름종이에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추출한 것입니다.

 

자 그럼 커피의 일일권장량은 얼마나 될까요?

 

아메리카노 기준으로

성인은 3-4잔 청소년과 노인은 1잔이 적당합니다.

 

(아이스 아메리카노는

따뜻한 아메리카노보다 더 진하다는 점 잊지마세요~)

 

만약 커피의 쓴 맛이 싫어서

 커피를 잘 드시지 못하시는 분들은

더치커피를 추천해 드립니다.

 

더치커피

뜨거운 물 대신 차가운 물로 추출합니다.

향이 좋고 카페인 함량이 매우 적습니다.

 

사람이 커피 향을 맡으면

몸이 편할 때 나오는 알파파의 영향으로

심신이 안정된다고 합니다

 

여성의 경우 하루 4잔 정도의 커피를

주기적으로 마셨을 때

우울증 발병률이 20%정도 감소된다는 결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불면증과 함께 우을증을 겪고 있다면

조심해서 드시길 바랍니다.

 

핀란드의 1400여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20년동안 실시한 연구결과에서는

하루에 평균 3-5잔 마시는 사람들에게

치매 발병률이 65%나 감소했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커피에 들어있는 폴리페놀 성분의

강력한 항산화효과가

뇌의 노화가 예방되어 치매 예방에 좋다고 합니다.


 

커피에 포함된 카페인은

뇌의 어떤 특정 부위에 도파민이 부족하여 생기는

 

파킨슨 질환이 있는데

도파민을 보충해 주는 역할이 있어서

파킨슨 질환을 에방해 주는 역할이 있습니다.


 

 

 

(4)매일 3잔~5잔 이상 마셔주세요

 

커피에 포함된 폴리페놀의 효과가

이정도 마셔야 나타난다고 하네요

 

아주 꾸준히 장기간 마셔야 효과가 있다는 것을 명심하세요~

 

이렇게 장기적으로 커피를 마시면

식욕억제, 체지방 연소, 운동효과 증진 효과가 있으니

다이어트 하시는 분들이나

운동하시는 분들에게도 좋은 음료입니다.

 

 

(5)무결점 커피의 단 하나 단점, 칼슘배출

 

하루에 760ml 즉 아메리카노로 치면

하루 6잔정도 마셨을 때

소변에서 칼슘의 배설량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하루에 2-3잔 정도 마신다면

 골밀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러면 골다공증이나 골밀도가 낮은 사람은

어떻게 커피를 즐길 수 있을까요?

바로 우유와 함께 마시는 것입니다.

라떼도 좋겠죠?

 

커피의 종류(2)

 

카페라떼

에스프레소에 우유를 넣은 것

 

카페모카

카페라테에 모카 초콜릿이 들어간 것

 

바닐라라떼

카페라테에 바닐라 향을 추가한 것

 

마끼아또

카페라테와 반대순서로

우유에 에스프레소를 얹고 캬라멜 소스만 넣은 것

 

한국 식약청 권장 카페인 섭취량은 400ml로

에스프레소 한잔에 40ml 카페이 있음

믹스커피는 60-70ml

드립은 100ml정도 임을 기억하세요

 

그러다고 에스프레소를 10잔씩 마셔도 괜찮다는 것은 아닐 것 같네요.

 


 

커피 부작용

 

(1)식전에 마시는 커피

 

카페인의 교감신경 흥분 작용으로

위산 분비를 촉진, 속이 쓰릴 가능성이 있고

 

탄닌 성분이 단백질과 결합하면 위궤양 환자의 경우

급성으로 속쓰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2)숙취해소용 커피

 

알콜분해효소가 나오도록 카페인이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간경화에 도움이 되고 이뇨작용도 도와주지만

 

술이 취한 상태에서 커피를 마시면

카페인이 취한 느낌은 감춰주기 때문에

더 과음을 할 수 있는 결과가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알콜이 분해되기 전에 커피를 마시면

심장박동수를 증가시켜 부정맥을 악화시켰다는 결과가 있으니

술 드시고 바로 커피를 마시는 것은

조금 조심해야 할 것 같네요

 

(3)산행시 자주 마시는 커피

 

커피를 한꺼먼에 많이 타서 보온병에 가지고 다니면서

계속 커피를 다량 마시면

탈수증상이 생길 수 있으니 조심하세요

 

(4)약과 함께 마시는 커피

 

약도 주로 간으로 대사되고 커피의 카페인도 간으로 대사되므로

서로 상충작용을 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어떤 약들은 커피와 같이 먹게되면

몸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의사와 상의하시고

 

가능하다면

두시간 정도 간격을 두고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많은 도움 되셨나요?

 

커피에는 이렇게 다양한 좋은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커피로 건강도 챙기시고

몸과 마음에 안정과 여유를 즐기시고

활기찬 하루 보내시기 바래요~

 

자 그럼 다음시간에는

또 다른 건강상식으로 찾아될게요!!